발우공양
  • 발우공양소개
  • 메뉴소개
  • 찾아오시는 길
  • 문의하기
  • 발우공양소식
  • English

메뉴소개

몸과 마음이 더불어 건강해지는 건강식

  • 봄메뉴
  • 여름메뉴
  • 가을메뉴
  • 겨울메뉴

봄메뉴

  • 선식(禪食)
  • 원식(願食)
  • 마음식(念食)
  • 희식(喜食)
  • 법식(法食)

선식(禪食)

Seon Course: 30,000원 (10% Tax 포함)

- 점심 한정메뉴 -

불교에서는 음식을 먹는 일도 진리를 깨닫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5가지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이 중 선(禪)은 선정의 기쁨을 의미합니다.
술적심
식사 전, 김치국물이나 간장 등을 약간 찍어 먹어서 마른 입 안을 적시고, 식욕을 돋우며, 침샘을 자극하고, 위에서 음식을 받을 준비를 하도록 도와주는 우리나라 전통 식사법을 말합니다.
모듬채소와 두부장쌈장
죽상
죽은 불교 초기부터 수행자들이 새벽에 먹는 음식이며, 불교 계율을 적은 "사분율"에 의하면, 죽은 배고픔, 갈증, 체증, 풍을 없애고, 용변을 고르게 하는 5가지 이로움이 있다고 합니다. 발우공양에서는 하루의 시작을 죽과 함께 시작하는 사찰음식의 특징을 반영하여, 식사의 앞 부분에 죽을 준비했습니다.
더덕콩죽과 봄물김치
상미 (嘗味)
상미(嘗味)는 불교에서 분류하고 있는 열 가지 맛 중, "다양한 맛과 향을 보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딸기즙봄나물냉채
봄배추무쌈말이
봄나물들깨찜
담미 (噉味)
담미(噉味)는 불교에서 분류하고 있는 열 가지 맛 중, "씹어서 느껴지는 음식의 식감에서 오는 맛을 보다"란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모듬버섯강정
유미 (愈味)
유미(愈味)는 불교에서 분류하는 열 가지 맛 중 "하루 동안 지친 몸과 마음을 낫게 하는 맛"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발우공양에서는 유미(愈味)를 매일 먹는 밥, 찌개, 반찬으로 담아 내는 한 상 차림 식사로 준비했습니다.
봄나물비빔밥
김치2종
청국장찌개
입 가 심
생강지짐과 오미자민들레조청
쑥차
계절마다 제철음식으로 메뉴가 바뀝니다.
사진은 실제메뉴와 다를수 있습니다.

원식(願食)

Won Course: 45,000원 (10% Tax 포함)

불교에서는 음식을 먹는 일도 진리를 깨닫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5가지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이 중 원(願)은 바른 소원을 의미합니다.
술적심
식사 전, 김치국물이나 간장 등을 약간 찍어 먹어서 마른 입 안을 적시고, 식욕을 돋우며, 침샘을 자극하고, 위에서 음식을 받을 준비를 하도록 도와주는 우리나라 전통 식사법을 말합니다.
모듬채소와 두부장쌈장
죽상
죽은 불교 초기부터 수행자들이 새벽에 먹는 음식이며, 불교 계율을 적은 "사분율"에 의하면, 죽은 배고픔, 갈증, 체증, 풍을 없애고, 용변을 고르게 하는 5가지 이로움이 있다고 합니다. 발우공양에서는 하루의 시작을 죽과 함께 시작하는 사찰음식의 특징을 반영하여, 식사의 앞 부분에 죽을 준비했습니다.
더덕콩죽과 봄물김치
상미 (嘗味)
상미(嘗味)는 불교에서 분류하고 있는 열 가지 맛 중, "다양한 맛과 향을 보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딸기즙봄나물냉채
봄배추무쌈말이
봄나물들깨찜
담미 (噉味)
담미(噉味)는 불교에서 분류하고 있는 열 가지 맛 중, "씹어서 느껴지는 음식의 식감에서 오는 맛을 보다"란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사찰부각
모듬버섯강정
봄나물겉절이
머위숙주전
승소 (僧笑)
오래 전 부터 사찰에서는 국수, 만두, 전, 떡, 두부 등을 "스님들이 절로 미소 짓게 만드는 맛있는 음식"이라하여, 승소(僧笑)라고 불렀습니다.
표고버섯냉면
봄나물을 얹은 두부구이
사찰만두
유미 (愈味)
유미(愈味)는 불교에서 분류하는 열 가지 맛 중 "하루 동안 지친 몸과 마음을 낫게 하는 맛"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발우공양에서는 유미(愈味)를 매일 먹는 밥, 찌개, 반찬으로 담아 내는 한 상 차림 식사로 준비했습니다.
연밥, 봄나물2종
사찰김치2종, 장아찌 1종, 청국장찌개
입 가 심
생강지짐과 오미자민들레조청, 쑥차
계절마다 제철음식으로 메뉴가 바뀝니다.
사진은 실제메뉴와 다를수 있습니다.

마음식(念食)

Maeum Course: 65,000원 (10% Tax 포함)

불교에서는 음식을 먹는 일도 진리를 깨닫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5가지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이 중 염(念)은 스스로 마음을 다스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술적심
식사 전, 김치국물이나 간장 등을 약간 찍어 먹어서 마른 입 안을 적시고, 식욕을 돋우며, 침샘을 자극하고, 위에서 음식을 받을 준비를 하도록 도와주는 우리나라 전통 식사법을 말합니다.
모듬채소와 두부장쌈장
복분자청에 절인 방울토마토
죽상
죽은 불교 초기부터 수행자들이 새벽에 먹는 음식이며, 불교 계율을 적은 "사분율"에 의하면, 죽은 배고픔, 갈증, 체증, 풍을 없애고, 용변을 고르게 하는 5가지 이로움이 있다고 합니다. 발우공양에서는 하루의 시작을 죽과 함께 시작하는 사찰음식의 특징을 반영하여, 식사의 앞 부분에 죽을 준비했습니다.
더덕콩죽과 봄물김치
상미 (嘗味)
상미(嘗味)는 불교에서 분류하고 있는 열 가지 맛 중, "다양한 맛과 향을 보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딸기즙봄나물냉채
봄배추무쌈말이
봄나물들깨찜
담미 (噉味)
담미(噉味)는 불교에서 분류하고 있는 열 가지 맛 중, "씹어서 느껴지는 음식의 식감에서 오는 맛을 보다"란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사찰부각, 모듬버섯강정
마두부장지짐, 인삼냉채
미나리연근메밀전
봄나물콩탕
승소 (僧笑)
오래 전 부터 사찰에서는 국수, 만두, 전, 떡, 두부 등을 "스님들이 절로 미소 짓게 만드는 맛있는 음식"이라하여, 승소(僧笑)라고 불렀습니다.
표고버섯냉면
봄나물을 얹은 두부구이
사찰만두
유미 (愈味)
유미(愈味)는 불교에서 분류하는 열 가지 맛 중 "하루 동안 지친 몸과 마음을 낫게 하는 맛"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발우공양에서는 유미(愈味)를 매일 먹는 밥, 찌개, 반찬으로 담아 내는 한 상 차림 식사로 준비했습니다.
연밥, 봄나물3종
사찰김치2종, 장아찌 1종
청국장찌개
입 가 심
생강지짐과 오미자민들레조청
홍시구름
계절마다 제철음식으로 메뉴가 바뀝니다.
사진은 실제메뉴와 다를수 있습니다.

희식(喜食)

Hee Course: 95,000원 (10% Tax 포함)

사전예약메뉴
“희식”은 재료 확보와 준비에 많은 시간과 공력이 소모되므로, 사전예약메뉴(최소 1일이전, 2인 이상, 선입금 50%)로 진행합니다.

불교에서는 음식을 먹는 일도 진리를 깨닫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5가지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이 중 희(喜)는 진리를 깨닫는 기쁨을 의미합니다.
술적심
식사 전, 김치국물이나 간장 등을 약간 찍어 먹어서 마른 입 안을 적시고, 식욕을 돋우며, 침샘을 자극하고, 위에서 음식을 받을 준비를 하도록 도와주는 우리나라 전통 식사법을 말합니다.
백자인다식
산초차
죽상
죽은 불교 초기부터 수행자들이 새벽에 먹는 음식이며, 불교 계율을 적은 "사분율"에 의하면, 죽은 배고픔, 갈증, 체증, 풍을 없애고, 용변을 고르게 하는 5가지 이로움이 있다고 합니다. 발우공양에서는 하루의 시작을 죽과 함께 시작하는 사찰음식의 특징을 반영하여, 식사의 앞 부분에 죽을 준비했습니다.
연근미음과 봄물김치
상미 (嘗味)
상미(嘗味)는 불교에서 분류하고 있는 열 가지 맛 중, "다양한 맛과 향을 보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봄나물겉절이
미나리유부된장찜
봄나물밀전병
담미 (噉味)
담미(噉味)는 불교에서 분류하고 있는 열 가지 맛 중, "씹어서 느껴지는 음식의 식감에서 오는 맛을 보다"란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봄나물튀김, 봄나물연근참깨무침
인삼냉채, 봄나물산초전
청포묵말이, 봄나물찹쌀탕
승소 (僧笑)
오래 전 부터 사찰에서는 국수, 만두, 전, 떡, 두부 등을 "스님들이 절로 미소 짓게 만드는 맛있는 음식"이라하여, 승소(僧笑)라고 불렀습니다.
표고버섯냉면
봄나물두부선
사찰만두
유미 (愈味)
유미(愈味)는 불교에서 분류하는 열 가지 맛 중 "하루 동안 지친 몸과 마음을 낫게 하는 맛"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발우공양에서는 유미(愈味)를 매일 먹는 밥, 찌개, 반찬으로 담아 내는 한 상 차림 식사로 준비했습니다.
연밥, 봄나물3종
사찰김치2종, 장아찌1종, 청국장찌개
입 가 심
생강지짐과 오미자민들레조청
첫물차
제철과일
계절마다 제철음식으로 메뉴가 바뀝니다.
사진은 실제메뉴와 다를수 있습니다.

법식(法食)

Beop Course: 150,000원 (10% Tax 포함)

사전예약메뉴
사전예약메뉴(3일전, 4인 이상 8인 이내, 선입금 50%)로 진행됩니다.


발우공양 쉐프의 조리 시연과 음식 설명을 들으면서 전용룸에서 최고 수준의 사찰음식을 맛볼수 있는 메뉴입니다.
술적심
식사 전, 김치국물이나 간장 등을 약간 찍어 먹어서 마른 입 안을 적시고, 식욕을 돋우며, 침샘을 자극하고, 위에서 음식을 받을 준비를 하도록 도와주는 우리나라 전통 식사법을 말합니다.
송화다식
송차
죽상
죽은 불교 초기부터 수행자들이 새벽에 먹는 음식이며, 불교 계율을 적은 "사분율"에 의하면, 죽은 배고픔, 갈증, 체증, 풍을 없애고, 용변을 고르게 하는 5가지 이로움이 있다고 합니다. 발우공양에서는 하루의 시작을 죽과 함께 시작하는 사찰음식의 특징을 반영하여, 식사의 앞 부분에 죽을 준비했습니다.
잣미음과 봄물김치
상미 (嘗味)
상미(嘗味)는 불교에서 분류하고 있는 열 가지 맛 중, "다양한 맛과 향을 보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봄나물튀김
봄나물완자조림
더덕초무침
담미 (噉味)
담미(噉味)는 불교에서 분류하고 있는 열 가지 맛 중, "씹어서 느껴지는 음식의 식감에서 오는 맛을 보다"란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봄나물마찜과 두부장
인삼냉채
연근완자애호박국
승소 (僧笑)
오래 전 부터 사찰에서는 국수, 만두, 전, 떡, 두부 등을 "스님들이 절로 미소 짓게 만드는 맛있는 음식"이라하여, 승소(僧笑)라고 불렀습니다.
가죽순국수
봄나물전
봄나물장아찌
유미 (愈味)
유미(愈味)는 불교에서 분류하는 열 가지 맛 중 "하루 동안 지친 몸과 마음을 낫게 하는 맛"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발우공양에서는 유미(愈味)를 매일 먹는 밥, 찌개, 반찬으로 담아 내는 한 상 차림 식사로 준비했습니다.
솥밥, 봄나물3종
사찰김치2종, 장아찌2종, 청국장찌개
입 가 심
생강지짐과 오미자민들레조청
금귤정과, 장흥돈차, 제철과일
계절마다 제철음식으로 메뉴가 바뀝니다.
사진은 실제메뉴와 다를수 있습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바루 대표 : 장형규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우정국로 56 5층(견지동)
사업자등록번호 : 101-82-65544

Tel : 02-733-2081